SOOKMYUNG WOMEN’S UNIVERSITY

수강안내

  • 홈
  • 수강안내
  • 교육과정
  • 학점은행제과정

교육과정

한국문학개론
강의계획서

교육목표

과목명 한국문학개론
강사명 송경란
수업기간 2023-03-08~2023-06-14 (총 15주, 45시간)
교육시간 수요일 19:00-22:00
교육장소 사회310
교육대상
교재 및 준비물

강의소개

학점은행제 2024-1학기[학점] 강의계획서

■ 기관명 : 숙명여자대학교 부설 미래교육원

과목명  한국문학개론(아동학교양호환) 강사명  송경란
이수기간  2023-03-08~2023-06-14 강의시간  수요일 19:00-22:00 학점  3 정원  40명
수업목표

한국문학의 개념과 흐름을 이해하고 시대별 작품의 특징에 따른 한국인의 의식 구조와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한국 문학을 한국문화 및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

1. 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, 갈래, 갈래별 특징과 전개 양상을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설명할 수 있다.

2. 대표작품을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학에 반영된 시대상을 정리할 수 있다.

3. 작품 속에 반영된 작가와 향유층, 시대상을 통해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의식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.

4. 한국문학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작품,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한국문학과 문화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

교수방법

1. 강의 : 주교재와 부교재를 이용하되 통사적으로 재구성하여 진행하며 필요에 따라 PPT와 시각자료를 이용해 집중도를 높이고 유인물을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인다.

2. 토론 : 매주 3차시 수업에서 해당일 학습한 문학작품에 대해 정리하고 대상 작품의 한국문화 및 한국어 교육 적용을 고민할 수 있도록 소그룹 또는 전체 토론을 함으로써 한국어 교원으로서의 자질을 높인다.

  *토론 주제:

-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?-1주차

- 한국문화 또는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작품 형태는 무엇인가? -2주차

- 한국문학 작품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? -3주차

- 한국어문화 교육을 위해 어떤 작품을 선정할 것인가? -4주차

- 조선 전기 소설과 후기 소설의 차이는 무엇인가? -5주차

- 소실 판소리는 왜 사라졌을까? -6주차

- 근대전환기와 우리 시대의 공통점은 무엇인가? -9주차

- 한국어문화 교육에서 일제강점기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? -10주차

-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 문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? - 11주차

- 전쟁의 상처를 극복하는 문학적 방법은? -12주차

- 한류의 힘과 문학의 상관관계는 무엇인가? -13주차

3. 질의응답 : 매시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의응답을 통해 학습 장애를 해소하여 학업성취를 높인다.

4. 발표 : 2종의 과제를 제출하기에 앞서 수업에서 발표하고 동료와 교수자의 환류를 받도록 함으로써 상호 발전의 기회로 삼는다. 

교재

주교재 : 조동일 외 6인, <한국문학강의>, 도서출판 길벗, 2015(개정판)

부교재 : 김윤식 외 39인, <한국현대문학사>, 현대문학, 2014(~2019, 5판4쇄)

과제  과제 부여 주차 : 1) 2주차  2) 13주차
 과제명 : 1) 한국문학 갈래의 대표작품과 작가 조사 발표  2) 한국문학 작품을 선정해 한국어문화 교육에 적용한 수업안 작성
 제출기한 : 1) 8주차  2) 15주차
성적비율  중간 30%, 기말 30%, 과제물 10%, 퀴즈 5%, 수업참여도 5%, 출석 20%

 

강의내용
1주차

주제 : 한국문학개론 교과목 강의 진행 안내

1. 한국문학개론 과목 안내

  1) 교과목 소개와 학습목표, 학습내용, 과제 안내

  2)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

    *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일반적 정의를 이해하고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을 모색할 수 있다.

    *한국문학의 개념 / 한국문학의 범위 : 구비문학/한문학/국문문학

 

주제 : 한국문학사의 전개, 한국문학의 갈래와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

1. 한국문학사의 전개

  *‘구비문학, 한문학, 국문문학의 관계’를 기준으로 한국 문학사의 시대별 구분과 그 특징을 알아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을 모색할 수 있다.

  1) 왕조의 변천사에 따른 시대 구분

  2) 문학의 갈래에 따른 시대 구분

  3) 시대별 한국문학 갈래의 존재 양상과 그 특징

2. 한국문학의 갈래와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

  *한국문학의 갈래의 전개 양상과 그 특징을 이해하여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을 모색할 수 있다.

  1) 문학 갈래에 따른 한국문학의 갈래 : 서정/서사/희곡/교술 갈래

  2)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: 수준별 교육과 자료 선정

2주차

주제 : 고대시가, 향가, 설화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 고대시가

  *대표적인 고대시가 작품 감상을 통해 고대시가 갈래의 특징과 향유 시기의 역사, 문화적 배경, 정서를 이해하여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

  1) 상고시대 개관

  2) 고대 시가 작품 감상 : 공무도하가, 황조가, 구지가

  3) 고대시가의 특징 정리 및 적용

2. 향가

  *대표적 향가 작품 감상을 통해 향가 갈래의 특징과 향유 시기의 역사, 문화적 배경, 정서를 이해하여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향가의 향유 배경 및 형식, 표기법

  2) 서동요, 풍요, 헌화가

  3) 처용가, 모죽지랑가

  4) 혜성가, 찬기파랑가, 안민가, 제망매가, 우적가

  5) 도천수관음가, 원왕생가, 보현십원가

3. 설화(신화/전설/민담)

  *대표적 설화 작품을 통해 설화 갈래의 특징과 향유 시기의 역사, 문화적 배경, 정서를 이해하여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설화의 갈래(신화/전설/민담)

  2) 신화 : 단군신화, 주몽신화, 박혁거세신화

  3) 전설 : 장자못 전설, 아기장수 전설, 삼태성 전설

  4) 민담 : 나무꾼과 선녀, 까치의 보은, 호랑이 꼬리 낚시

3주차 

주제 :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 고려가요(1)

  *대표적 고려가요 작품 감상을 통해 고려가요 갈래의 특징과 향유 시기의 역사, 문화적 배경, 정서를 이해하여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

  1) 고려시대 문학의 배경과 향유층

  2) 정읍사

  3) 사모곡

  4) 가시리

2. 고려가요(2)

  *대표적 고려가요 작품 감상을 통해 고려가요 갈래의 특징과 향유 시기의 역사, 문화적 배경, 정서를 이해하여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서경별곡

  2) 청산별곡

  3) 쌍화점

  4) 동동

3. 경기체가

  *대표적 경기체가 작품 감상을 통해 경기체가 갈래의 특징을 이해하고 서정 장르 전개 과정을 이해하여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한림별곡

  2) 죽계별곡

  3) 고려시대 서정 갈래의 특징 정리 및 조선전기 서정 갈래와의 관련성

4주차

주제 : 시조와 가사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 시조(1)

  *시조의 발생 과정과 대표적 형식을 이해하여 한국어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시조의 개념과 발생과정

  2) 시조의 형식과 내용에 따른 분류

  3) 전기 시조 작품 감상

2. 시조(2)

  *대표적 시조 작품 감상을 통해 시조 갈래의 특징을 알고 한국어문학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후기 시조 작품 감상

  2) 시조 갈래의 특징과 의의 정리 

3. 가사

  *가사 갈래의 전개에 대해 알고 대표 작품 감상을 통해 갈래의 특징을 이해해 한국어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가사의 전개 과정 및 향유층

  2) 가사의 형식과 내용, 향유층에 따른 분류

  3) 가사 작품 감상(사미인곡)

  4) 시조와 가사 장르의 특징과 의의 정리 및 적용

5주차

주제 : 고전소설(한문소설/국문소설)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 고전소설 개관

  *고전소설 갈래의 전개 과정과 특징을 이해하여 한국어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고전소설의 발생 및 전개

  2) 고전소설의 특징

2. 한문소설 

  *작품 감상을 통해 한문소설의 특징을 이해하여 한국어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

  1) 가전(假傳) 작품 감상 – 국순전, 규중칠우쟁론기

  2) 금오신화

  3) 허생전

  4) 호질 

3. 국문소설

  *작품 감상을 통해 국문소설의 특징과 전개를 이해하고 이를 한국어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

  1) 홍길동전

  2) 사씨남정기

  3) 구운몽

  4) 고전 소설 갈래의 전개 과정 및 특징 정리 및 적용

  5) 6주차 3차시 쪽지시험 실시 안내(1~5주차 진도, 객관식 5문항)

6주차

주제 : 서사무가와 판소리계 소설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 서사무가

  *서사무가의 특징과 종류에 대해 알고 대표작품 감상을 통해 갈래의 특징을 이해해 이를 한국어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

  1) 서사무가의 종류와 특징

  2) 작품 감상 - 바리공주

  3) 서사무가 갈래의 특징과 의의 정리

2. 판소리계 소설(1)

  *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형성에 대해 알고 대표작품 감상을 통해 갈래의 특징을 이해하여 이를 한국어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.

  1) 판소리계 소설의 형성

  2) 작품 감상 – 심청전, 흥보전, 춘향전

3. 판소리계 소설(2)

  *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형성에 대해 알고 대표작품 감상을 통해 갈래의 특징을 이해해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

  1) 판소리계 소설의 형성

  2) 작품 감상 –적벽가, 숙영낭자전, 변강쇠전

  3) 판소리계 소설의 갈래적 특징과 의의 정리 및 적용

  4) 쪽지시험 – 1~5주차 진도에 대한 5문항

7주차

주제 : 기타 서사와 민속극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 가문소설

  *가문소설의 형성에 대해 알고 대표작품 감상을 통해 갈래의 특징을 이해해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가문소설의 형성

  2) 작품 감상 – 완월회맹연

  3) 가문소설의 갈래적 특징과 의의 정리

2. 서사 교술

  *서사 교술 갈래에 대해 알고 대표작품 감상을 통해 특징을 이해해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

  1) 서사 교술 갈래의 전개 과정

  2) 작품 감상 – 한중록, 계축일기

  3) 서사 교술 갈래적 특징과 의의 정리

3. 민속극

  *민속극의 형성과 전개에 대해 알고 대표작품 감상을 통해 갈래의 특징을 이해하여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민속극의 형성 배경과 전개

  2) 작품 감상 – 하회별신굿, 박첨지극

  3) 민속극 갈래의 특징과 의의 정리 및 적용

  4) 1~7주차 수업 정리 및 중간고사 안내

8주차 중  간  고  사
9주차

주제 : 개화기 문학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 개화기 문학의 서정 갈래

  *개화기 서정 갈래(개화가사/창가/신체시)의 형성과 전개에 대해 알고 대표 작품 감상을 통해 갈래의 특징을 이해하여 한국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개화기 문학의 형성 배경

  2) 작품 감상 – 셔울 순쳥골 최돈셩의 글, 사회등가사, 해에게서 소년에게, 우리의 영웅

  3) 개화기 서정 갈래의 갈래적 특징과 의의 정리 및 적용

2. 개화기 문학의 서사 갈래
  *개화기 서사 갈래(역사전기류/구소설)의 전개에 대해 알고 대표 작품 감상을 통해 갈래의 특징을 이해하여 한국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

  1) 개화기 서사 갈래의 전개

  2) 작품 감상 – 태서신사, 라란부인전, 금수회의록

  3) 개화기 문학의 특징과 의의 정리

3. 1910년대 시

   *1910년대의 시대적 배경을 알고 대표 시 작품 감상을 통해 1910년대 시의 특징을 이해하여 한국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 1) 1910년대의 시대상

   2) 작품 감상 – 해에게서 소년에게, 불노리

   3) 1910년대 시의 특징과 의의 정리

10주차

주제 : 1910년대 소설과 시, 1920년대 소설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 1910년대 소설

  *1910년대의 시대적 배경을 알고 대표 소설 작품 감상을 통해 1910년대 소설의 특징을 이해하여 한국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작품 감상 –금수회의록, 무정

  2) 1910년대 문학의 특징과 의의 정리

2. 1920년대 시

  *1920년대 시문학의 특징과 전개 과정을 이해하여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1920년대의 시대적 배경

  2) 근대시의 등장과 전개

  3) 작품 감상 - 별, 국경의 밤, 님의 침묵, 진달래꽃

3. 1920년대 소설

  *1920년대 서사 갈래의 대표 작품 감상을 통해 그 특징을 이해하여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작품 감상- 표본실의 청개구리, 빈처, 인력거꾼, 탈출기

  2) 1920년대 소설의 특징과 의의 및 적용

11주차 

주제 : 1930년대 시와 소설, 1940년대 시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 1930년대 

  *1930년대 시대적 배경을 알고 대표 시 작품 감상을 통해 전개 과정을 이해하고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1930년대의 시대적 배경

  2) 작품 감상 - 김영랑, 정지용, 김기림, 서정주, 오장환의 시

2. 1930년대 소설

  *1930년대 소설의 대표 작품 감상을 통해 그 특징을 이해하고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

  1) 작품 감상- 이태준. 채만식, 이무영, 김유정, 유진오, 이상, 박태원, 김동리

  2) 1930년대 문학의 특징과 의의 정리

3. 1940년대 시

  *1940년대의 시대적 배경을 알고 대표 시 작품의 감상을 통해 전개 과정을 이해하며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1940년대의 시대적 배경

  2) 작품 감상 – 이육사, 윤동주, 청록파(박두진, 박목월, 조지훈)의 시

  3) 1940년대 시의 전개와 특징 정리

 
12주차

주제 : 1940년대 소설, 1950년대 시와 소설, 1960년대 시와 소설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 1940년대 소설

  *1940년대 대표 소설 작품의 감상을 통해 그 특징과 전개 과정을 이해하고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작품 감상 - 김영수, 김동리, 정비석, 황순원의 소설

  2) 1940년대 문학의 특징과 의의 및 적용

2. 1950년대 시와 소설

  *1950년대 문학의 특징과 전개 과정을 이해해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1950년대의 시대적 배경

  2) 1950년대 시의 전개와 작품 감상– 박인환, 김수영, 전봉건, 유치환, 구상, 서정주, 조병화

  3) 1950년대 소설의 전개와 작품 감상 – 손창섭, 오상원, 서기원, 하근찬

  4) 1950년대 문학의 특징과 의의 및 적용

3. 1960년대 시와 소설

  *1960년대 문학의 특징과 전개 과정을 이해해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

  1) 1960년대의 시대적 배경

  2) 1960년대 시의 전개와 작품 감상 – 김수영, 신동엽, 김광섭, 김춘수, 이호우

  3) 1960년대 소설의 전개와 작품 감상- 김승옥, 이청준, 최인호, 김정한, 남정현, 이호철, 전광용, 박경리

  4) 1960년대 문학의 특징과 의의 및 적용

13주차

주제 : 1970년대 시와 소설, 1980년대 시와 소설, 1990년대 이후 시와 소설의 이해와 교육 적용

1. 1970년대 시와 소설

  *1970년대 문학의 특징과 전개 과정을 이해하여 한국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1970년대의 시대적 배경

  2) 1970년대 시의 전개와 작품 감상 – 조남현, 신경림, 김지하, 김광규, 최승호, 나태주

  3) 1970년대 소설의 전개와 작품 감상 – 황석영, 전상국, 박완서, 이문열, 조세희, 김성동

  4) 1970년대 문학의 특징과 의의 및 적용

2. 1980년대 시와 소설

  *1980년대 문학의 특징과 전개 과정을 이해하여 한국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1980년대의 시대적 배경

  2) 1980년대 시의 전개와 작품 감상 – 최두석, 이상호, 안도현, 김남주, 황지우, 최승호

  3) 1980년대 소설의 전개와 작품 감상 – 윤후명, 박양호, 이인성, 서정인, 최수철, 고원정

  4) 1980년대 문학의 특징과 의의 및 적용

3. 1990년대 이후 시와 소설

 *1990년대 이후 시와 소설의 시대적 배경을 알고 작품 감상을 통해 전개 과정을 이해하여 한국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 

  1) 1990년대 이후의 시대적 배경

  2) 1990년대 이후 시의 전개와 작품 감상 – 이문재, 송재학, 남진우, 고재종, 김혜순, 문태준, 황병승

  3) 1990년대 이후 소설의 전개와 작품 감상 – 김원일, 한정희, 김연수, 김영하, 박민규 공지영

  4) 1990년대 이후 문학의 특징과 의의 및 적용

14주차

주제 : 한국문학 작품의 수준별 적용 발표

*한국문학 작품을 선택하여 수준별 한국어문화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.

1) 한국문학 교육의 의의와 목표

2) 한국문학 교육의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(과제2) 발표와 토의

15주차 기  말  고  사

QUICK
MENU